월간 <네트워커> - 정보화에 대한 다른 시각
32호 레니의'떼끼'
유니코드도 통역이 되나요? : 문자코드의 세계

레니 / 진보네트워크센터 기술국 자원활동가   renegade@jinbo.net
조회수: 6267 / 추천: 71
바벨탑

지금의 저는 어떠한 종교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소시적 C 종교를 열심히 믿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C 종교의 경전에는 "바벨탑"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이 바벨탑은 "신의 경지에 도전하려는 인간의 무모함"에 대한 비유로 지금도 많이 언급되곤 하죠. 이 바벨탑이 세워지던 시절에는 세상에 단 하나의 언어만이 존재했기 때문에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C 종교의 유일신은 인간들의 도전행위를 용납하지 않는 성격이어서, 탑을 쌓는 사람들의 언어를 흩어놓는 능력을 발휘합니다. 말이 통하지 않게 되자 사람들은 사방으로 흩어지게 되었고, 결국 유일신은 자신의 목적을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었죠.

사실 언어라는 것이 이렇게 누군가가 정해 주는 것은 아니겠죠. 지역마다 독자적으로 발전한 역사적인 산물이 언어이기 때문에 세상에는 이토록 다양한 언어들이 존재하는 것일 겁니다. 이러한 언어의 다양성은 각 지방의 고유한 문화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지역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런 사정은 가상 공간인 웹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컴퓨터는 바이트(byte) 단위로 문자를 구분합니다. 한 바이트는 8비트(bit)로 구성되며 0부터 255까지의 숫자를 표현 가능하죠. 컴퓨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영미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로 인한 문제 때문에 골치 썩일 일은 없었습니다. 0부터 9까지의 숫자 10개와 대/소문자 알파벳 52개, 그리고 몇 가지의 특수 문자들만 표현하면 되었죠. 이를 표현하기 위해 각 문자를 0에서 255사이의 수로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알파벳 A는 65번, a는 97번, -(대시)는 45번, 공백(스페이스)는 32번 등으로 말이죠. 이렇게 각 문자들에 수를 할당하고 나면 0부터 127번까지 사용하게 됩니다. 이런 규칙이 바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아스키) 코드죠. 아스키 코드는 오래 전부터 영문을 표기하는 표준으로 자리잡아 왔으며 이후에 0부터 255까지를 사용하는 확장 아스키 코드가 나온 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스키 코드

영문만을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시절에는 아스키 코드만으로 충분했었습니다. 그러나 곧 세계 각 국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었고 사용자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를 표현할 수 있어야 했죠. 이 중 알파벳처럼 적은 수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스키 코드처럼 자신의 언어를 코드화할 수 있는 나라들도 있었지만, 한국이나 일본, 중국 등의 아시아권 국가들은 255 이상의 수를 필요로 했었죠. 그래서 한국어 등의 언어들은 2바이트를 사용하여 자신의 언어를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1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는 0에서 255이지만, 2바이트로는 65535까지 표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문자들을 코드값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되었죠. 한국의 경우 이 과정에서 표준을 주관하는 곳이 없었기 때문에 조합형, 완성형, 확장 완성형 등의 여러 코드 체계들이 난립하게 되었습니다. 흔히 EUC-KR, KSC-5601, ISO-8859-1 등으로 불리는 것들이 이러한 코드 체계의 이름으로서 이를 "캐릭터셋"이라고 부릅니다. (정확히 얘기하면 EUC-KR은 "인코딩"으로 불러야 합니다) 한국에서는 완성형이라고 불리던 코드 체계를 결국 국가 표준으로 삼게 되었고, 유니코드에서도 역시 완성형 한글을 기본으로 하게 됩니다.

여기서 유니코드라는 말은 여러 곳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유니코드란 어떻게 보면 현대의 바벨탑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일본어로 제작된 문서를 한국어 운영체제로 된 컴퓨터에서 읽는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냥 문서를 한국어 문서 읽듯이 문서편집기로 연다면 깨진 글자들 밖에 볼 수 없을 것입니다. 문서를 제대로 읽기 위해서 가장 먼저 이 문서가 어떤 캐릭터셋으로 표현되었는지를 알아야 하고, 그 다음으로 그 캐릭터셋의 표현 규칙을 알고 있어야만 일본어를 제대로 표시할 수 있겠죠. 바꿔 말하면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나라에서 사용하는 캐릭터셋의 규칙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만 어떤 문서라도 읽을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이것은 참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일이 아닐 수 없겠죠. 그래서 전 세계의 문자를 공통의 문자 코드로 관리하려는 유니코드 프로젝트가 시작됩니다. 유니코드는 3바이트 영역까지 사용하여 전 세계의 문자를 표현하려 합니다. 따라서 유니코드 형태로 표현하면 하나의 표현 규칙만 알고 있어도 어떠한 문자도 읽을 수 있게 되겠죠.

현재 한국의 많은 웹페이지들이 KSC-5601 캐릭터셋을 기반으로 한 EUC-KR 인코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EUC-KR은 유니코드가 아니기 때문에 한국어와 일부 한자를 제외한 다른 언어를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UTF-8 인코딩을 통한 유니코드를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많은 페이지들이 UTF-8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죠. 하지만 EUC-KR만을 처리하던 페이지에서는 유니코드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깨진 글자로 나타나는 등 아직은 혼란스러운 양상입니다. 따라서 현재로는 모든 캐릭터셋을 인식할 수 있도록 페이지를 제작하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물론 그만큼 시간과 노력이 더 들어가겠지만요. :)
unicode 로고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