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네트워커> - 정보화에 대한 다른 시각
1호 Network+Art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내는 세상

이영준  
조회수: 4698 / 추천: 61
일명 '디카' 디지털 카메라의 약자다. 요즘 이 말을 모르면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야기가 안된다. 너도나도 하나씩 들고 다니기 때문이다. 심지어 버스 안에서 연인끼리, 친구끼리 이런 표정 저런 표정 다 찍어보고 확인하며 즐거워하는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디카붐, 어떤 의미를 갖고 있고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편집자주>

'필름카메라'에서 '디카'로, 종이에서 화일로

아직도 필름 카메라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제 사진의 대세는 디지털로 넘어간 것 같다. 특히 사진의 소통이 필름으로 찍어서 종이에 인화하여 나눠주는 식에서, 디지털로 찍어서 시디에 구워 주거나 인터넷 상으로 주고받는 시대가 되면서 디지털의 우위는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소통의 양상을 바꾸는데 그치지 않는다.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의 의미구조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필름값이 들지 않으니 밧데리와 메모리가 있는 한 무한정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그러다 보니 필름을 쓸 때는 필름값이 아까워서 찍지 못하던 것도 마구 찍을 수 있어서, 사진의 대상에 위계등급을 매기는 습관이 사라졌다. 이것은 찍을 만 하고, 저것은 찍을 게 못 되고, 하는 식의 구분이 사라진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는 크기가 작아서 어디든지 가지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에는 카메라가 가지 않던 식당, 술집, 노래방 등 어디든 비집고 다니며 사진을 내뱉고 있다. 조금 더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디지털 카메라는 색발란스를 자동으로 잡아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백열등이건 형광등이건 가리지 않고 자연스런 색을 내준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것이면 좀 흔들려도 대강 봐준다. 친구들끼리 즐겁게 노는 것을 찍었는데 꼭 사진이 정확하게 나와야 하냐는 식이다.

'디카'가 가져온 또 한번의 민주화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의 민주화를 가져왔다. 사진의 역사에서 이미지의 민주화가 이루어진 몇 번의 계기가 있었는데, 그 때 마다 매체의 기계적인 성격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1888년 코닥이 “셔터만 누르세요, 나머지는 저희가 해 드립니다”라는 문구로 선전했던, 오늘날 우리가 아는 대로 소비자가 사진을 찍어서 필름을 맡기면 현상소에서 사진을 뽑아주는 식의 사진처리 방식이 등장한 것이다. 그로 인해 누구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사진의 주제가 대폭 가벼워졌다. 그와 비슷한 변화가 디지털 카메라로 인해 일어나고 있다. 요즘의 이미지의 민주화는 피사체의 위계등급이 사라졌다는 점에서 민주적이며, 사진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누구든지 그럴싸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고, 인터넷 게시판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 거의 아무런 검열을 받지 않고 (알바에게 짤리는 경우는 제외하고) 사진을 누구에게나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거의 표상의 유토피아라 할 만하다.
물론 이는 양적인 민주화이지만, 양적인 변화가 ‘아??’로 대표되는 새로운 감각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그 변화는 괄목할 만하다. 디시인사이드를 통해 퍼진 ‘쌔우다’ ‘?抵볜괌 ‘방법하다’ 등의 은어는 이제는 유행어가 되면서 디지털 카메라와 뗄 수 없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필름 카메라보다 훨씬 발달한 접사기능 덕분에 과감하게 사물의 디테일에 접근하는 자세가 생겨, 새로운 관찰의 시선을 만들어내었다.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중들의 관찰력은 거의 초현실적인 지경에 이르고 있다. 자기 집에서 바퀴벌레가 새끼를 낳는 순간을 찍은 사람, 문틈에 자란 버섯을 찍은 사람, 하늘에 떠 있는 오리모양의 구름을 찍은 사람, ‘코스닭’ 같은 기발한 간판을 찍은 사람 등, 새로운 대중적 상상력과 관찰력의 결합은 가히 이미지의 핵폭발이라 할 만한 변화를 가져 오고 있다. 물론 아직도 디시인사이드 같은 디지털 카메라 사이트에는 저녁 노을 장면에 서정적인 피아노곡 깔아서 올리는 구시대적 싸구려 감각이 많이 남아 있지만, 어차피 대중이란 하나가 아니라 무수히 많은 파편 같은 것임을 감안하면 오히려 사진 이미지의 지형을 다양하게 했다고 볼 수도 있다.

대중속으로, 좀더 대중속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하여 이미지를 신성시하는 것이 아니라 친구처럼 여기고, 도구처럼 사용하는 것은 유쾌한 일이다. 무엇보다도, 이미지를 만들고 소통시키는 일이 특권화 된 전문가에게만 가능한 일이 아니라, 누구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을 ‘액자에 고이 모셔놓은 예술’에서 즐기고 나누고 돌아다니는 것으로 만들어놓았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사적인 사진들도 공적으로 돌아다닐 수 있게 되자,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의 구분이 없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유명 연예인들이지만, 사적이고 내밀한 취향의 세계를 남이 들여다 볼 수 있다는 것은 이전에는 느낄 수 없는 쾌감을 주는 것도 사실이다. 디지털 카메라 붐이 흥미로운 것은, 무엇보다도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세계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어떤 대중들이 무슨 사고를 칠지 알 수 없다. 단지 근엄한 사람들만이 우려하고 있을 뿐이다.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