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5157 / 추천: 67
웹2.0이라는 단어가 전파된 것은 그야말로 순식간에 이루어진 일이었습니다. 마치 어느 날 갑자기 모두가 웹2.0을 말하고 있었다는 느낌이었죠. 소수 집단에서 조심스럽게 나오기 시작했던 웹2.0은 개발자, 웹기획자 뿐만 아니라 관리자, 마케터 등 웹을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같은 압박을 주는 단어로 성장했습니다.
웹2.0이라는 용어는 오라일리(O'Reilly)사와 미디어라이브 인터내셔널(MediaLive International)사의 컨퍼런스를 위한 브레인스토밍 도중 최초로 도출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유명한 웹2.0의 밈맵(meme map)이 나왔으며 2004년 10월에 웹2.0 컨퍼런스가 개최되어 몇 가지 원칙 등이 정리되게 됩니다.
물론 이 맵에 있는 말들이 곧 웹2.0에 대한 정의는 아닙니다. 사실 웹2.0이라는 단어는 그 안에 워낙 많은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하기가 상당히 애매합니다. 단지 2.0이라는 숫자가 주는 새로움에 대한 인상이 워낙 강렬하기 때문에, 어렴풋이나마 이미지를 그려서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여기에선 그 의미를 정리하는 것보다는 몇 가지 대표적인 서비스들을 통해 웹2.0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구글 플랫폼
국내에서 구글(Google,
http://www.google.com)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검색 시장을 정복한 업체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구글의 진정한 야망은 세계 정복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구글은 강력한 검색 서비스를 필두로 하여 뉴스 서비스, 지도(맵)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데스크탑 툴바 등 컴퓨터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작업들에 개입하려 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과거의 넷스케이프나 현재의 MS처럼 서버나 소프트웨어를 판매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하고 정보의 흐름을 매개함으로써 독립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죠(Services, not packaged software). 팀 오라일리(Tim O'Reilly)는 웹2.0의 전략적 포지셔닝으로서 ‘플랫폼으로서의 웹(The Web as Platform)’을 제시하고 있는데, 구글은 이런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플랫폼으로서의 웹 :
http://www.zdnet.co.kr/builder/dev/web/0,39031700,39143347,00.htm
- Google vs MS :
http://www.zdnet.co.kr/plan/issue/2005/0,39036178,39142804,00.htm
* 위키피디아
웹2.0을 설명하는데 있어 집단 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빼놓을 수 없는 항목입니다. 사실 집단 지성은 인터넷이 시작되면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경험을 커뮤니케이션하며 가치를 만들어낸다는 이 개념은 1994년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철학자인 피에르 레비(Pierre Revy)의 동명의 책에 등장했습니다.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오픈소스 프로젝트, 블로그, 그리고 가장 급진적인 방식인 위키위키(Wikiwiki)까지 이어져 온 이 개념은 위키피디아(Wikipedia,
http://kr.wikipedia.org)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죠.
위키피디아는 위키의 편집 방식에 따라 누구나 쓸 수 있고 자신이 쓴 글은 물론이고 다른 이가 쓴 글까지도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위키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집단적인 이성을 극단적으로 신뢰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죠(Trust your users). 누군가에 의해 통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들은 스스로 데이터를 올리고 수정하면서 하나의 백과사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가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혹은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어떤 항목이 통째로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곧 다른 사용자에 의해 히스토리에서 복구되곤 하죠. 역시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데이터베이스가 쌓이고는 있지만 중복된 지식과 닫힌 구조의 한계를 지닌 ‘지식인’ 서비스와 비교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고 훨씬 많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도 ‘위키피디아’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황우석 사건 같이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편집에 제한을 가하기도 하고 토론도 전개하곤 합니다. :
http://ko.wikipedia.org/wiki/%ED%99%A9%EC%9A%B0%EC%84%9D
* 델리셔스
델리셔스(delicious,
http://del.icio.us)는 태그(tag)의 사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태그는 말 그대로 뭔가에 붙이는 꼬리표입니다. 이 단순한 행위가 카테고리를 기본으로 하는 기존의 분류법(taxonomy)을 완전히 뒤집어 놓은 새로운 분류법(folksonomy)이 되고 있습니다.
북마크 서비스를 하는 델리셔스는 각 링크에 태그를 붙이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면, 진보불로그에 ‘진보넷’, ‘블로그’... 이런 식으로 말이죠. 저장된 북마크는 이러한 태그에 의해 분류해서 관리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각 사용자들이 모은 북마크를 공유-소셜 북마크(Social Bookmark)-합니다. 어떤 사이트가 유용한 곳인지 다른 사람들이 저장해 놓은 북마크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블로그’라는 태그를 진보불로그에 붙여 저장한 사람이 많아진다면 진보불로그의 순위도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태그를 붙이는 행위인 태깅(tagging)은 곧 가치 있는 사이트를 찾는 일에 사람들을 참여하게 하는 방법이기도 한 것이죠(Architecture of Participation). 지금은 동영상, 사진, 포스트 등 웬만한 콘텐츠를 생성할 때 태그를 다는 것은 하나의 추세가 되고 있습니다.
* 다시 한 번, 구글 맵스
앞에서 구글 서비스들에 대해 얘기했지만, 그 중 가장 웹2.0적인 서비스는 단연 구글 맵스(Google Maps,
http://maps.google.com)입니다. 아작스(Ajax)라는 비동기 처리 기술을 사용한 인터페이스도 돋보이지만, 무엇보다도 다른 웹 응용프로그램과 쉽게 같이 연동-매쉬업(mash-up)이라고도 합니다-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웹2.0답다고 할 수 있습니다(Remixable data source and data transformation). 팀 오라일리의 글에서 소개되기도 한 하우징맵스닷컴(
http://www.housingmaps.com/)의 경우를 보면 구글 맵스의 데이터가 다른 데이터들과 어떻게 섞일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구글 맵스의 데이터는 그 자체로도 물론 가치가 있겠지만, 사방으로 흘러나가 다른 데이터와 섞여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냅니다. 그 작업을 하는 것은 구글 맵스가 아니라 그 사용자들이며, 구글 맵스는 데이터베이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이쯤 되면 구글의 세계 정복 야망이 왠지 현실성 있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 UFO Search :
http://www.ufomaps.com/
- e-Bay + Google Maps :
http://www.markovic.com/ebay/google-map-search/
|
Google Maps |
웹2.0은 아직 진행 중
이렇게 여러 서비스들을 늘어놓고 보면 웹2.0에 대해 어렴풋이 이해가 될 듯 하지만, 막상 웹2.0을 정의하려면 어떤 설명부터 해야 할지 난감하긴 여전합니다. 웹2.0은 아직까지도 차세대 웹의 모습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긴 하지만, 한 편으로는 예전부터 있던 개념을 새삼스레 꺼낸다-한 마디로 뒷북이란 얘기죠-는 생각도 있고, 극단적으로는 단지 마케팅 용어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떻게 보면 새로운 기술, 풍부해진 유저 인터페이스 등과 함께 그 동안 주류에서 밀려나 있었던 웹의 진정한 의미를 찾았다는 뜻으로 "2.0"이라는 숫자는 정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웹2.0 서비스라고 예를 들만한 곳이 별로 없습니다. 한국에서의 인터넷 환경의 특수성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웹2.0 서비스가 탄생하기 위해서 좀 더 시간이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처음에는 생소하기만 했던 RSS 서비스, 태깅 등이 일반화되고 있고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서비스 등이 신규 오픈되고, 롱테일(Long Tail)의 중요성이 부각되어가는 것을 보면, 머지않아 한국에서도 신선한 웹2.0 서비스라고 부를 만한 것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